-
ADsP 18회 복원문제과외 - ADsP/복원 문제 2019. 1. 6. 15:58
1과목
1번) 빅데이터 출현 배경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
--> 4) 데이터 구조의 정형화 (하)
2번) 통찰력을 제공하는 분석 기술이 아닌 것?
--> 4) 추출 (하)
3번)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량에 관해 묻는 문제
--> 하드 스킬(Hard Skill)(상)
4번) 내재된 경험을 문서나 매체로 저장하는 과정?
--> 표출화 (하)
5번) 빅데이터 시대 위기 요인으로 부적절한 것?
--> 1)익명화 (하)
6번) 인문학 열풍의 외부환경 요소가 아닌 것?
--> 4)빅데이터 분석 기법과 방법론의 확대 (하)
7번) 데이터사이언스에 대한 설명이 부적절한 것?
--> 1) 통계학은 더욱 확장된 유형의 데이터를 근간으로 한다 (중)
8번) DIKW 중 다른 하나?
--> 8월 매출액은 3000만원으로 예상한다. (중)
단1) (A)인과관계, (B)상관관계 (상)
단2) 플렛폼 (중)
2과목
9번)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의 내용?
아래) 데이터 표준 용어 설정, 명명규칙 수립 등.....
--> 1)데이터 표준화 (중)
10번) 문제 탐색 단계에 대한 설명 중 부적절한 것?
--> 4)유스케이스 활용보다는 새로운 이슈탐색을 우선 (하)
11번) 과제 우선순위 결정 내용 중 부적절한 것?
-->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(하)
12번) 분석 기획 고려사항 중 장애요소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?
--> 복잡하고 정교한 모형 (중)
13번)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의 4가지 유형?
--> 통찰 - 발견 (하)
14번) 분석 과제 수행시 고려해야할 5가지 속성이 아닌 것?
--> 데이터 분석 방법 (하)
15번) 데이터 유형으로 적절한 것?
--> 1) Demand Forecasts – Competitor pricing- Email records (상)
16번) 프로토타이핑 으로 적절한 것?
--> 2)신속하게 해결책이나 모형을 제시함으로써.... 유용한 상향식 접근 방법이다. (중)
단1) 하향식 접근방식 (하)
단2) 모델링 과정 (상)
3과목17번) 회귀모형의 변수선택법으로 부적절한 것?--> 주성분분석 (중)18번) Credit 데이터를 통한 회귀 그래프를 보고 적절한 R명령어?--> lm(Balance~Income+Student, data=Credit) (중)19번) 거리를 활용한 유사도 측도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--> 마할라노비스 거리는~~~(상)20번) 데이터 정규성의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?--> Durbin Watson test (상)21번) 상관분석의 설명이 잘못된 것?--> 종속변수 값을 예측하는 선형모형을 추출하는 방법 (하)22번) 데이터마이닝 단계 중 목적변수 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?--> 데이터 가공 (하)23번) 연관규칙의 향상도의 설명이 적절한 것?--> 향상도가 1보다 크면 결과가 우수하다. (중)24번) R 데이터의 저장 형식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--> 행력을 as.vector함수를 적용하면 1행부터 차례로 원소로 생성된다.(중)25번) 의사결정나무의 해석으로 부적절한 것?--> 뿌리마디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각 마디에서의 불순도는 점차 증가한다.(중)26번) 각 열이 서로 다른 타입의 R 데이터 구조?--> 데이터 프레임(하)27번) 비모수 검정에 대한 특징이 잘못된 것?--> 평균, 분산 등을 이용한 검정을 실시(중)28번) SOM 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--> SOM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(상)29번) 추정과 가설검정에 대해 부적절한 것?-->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, ...... 검정통계량이 나올 확률을 p 값이라고 한다.(중)30번) Bias-variance tradeoff 내용?--> (상)31번) Chickwts에서 71마리 병아리 데이터로 설명이 가장 부적절한 것?--> 첨가물의 개수가 5개(중)32번) 보험사에서 고객 데이터를 갱신해서 예측하려고 할 때 적절한 분석기법?--> 랜덤포레스트(하)33번) 광고 채널을 통한 매출정도의 상관분석으로 부적절한 설명?--> TV광고와 Sales는 증가하는 인과관계를 가진다.(하)34번) 회귀분석의 결정계수의 설명이 부적절한 것?--> 1)총변동과 오차에 의한 변동 비율(중)35번) 귀무가설이 사실인데 우리가 내린 판정이 잘못되었을 실제 확률?--> p-value(하)36번)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--> 2)기울기가 0이 아닌 것 가장을 귀무가설이라 한다.(하)37번) 교차 판매 등에 적용하는 기법은?--> 연관분석(중)38번) R패키지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?-->1) data.table 패키지는 ddply함수를 제공한다. (중)39번) R명령어 중 3*y의 결과?--> 3 6 9 NA(하)40번) 기법의 활용분야가 다른 하나?--> SOM(하)단 5번) 오분류 표의 정확도 표기--> (a+d)/(a+b+c+d) (하)단 6번)맨하탄 거리 구하기--> 2 (중)단 7번) 분류가 잘못된 데이터에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기법--> 부스팅(하)단 8번) 현시점에서 전시점 자료를 빼는 것--> 차분(하)단 9번) 회귀모형의 계수 추정 방식--> 최소제곱법(하)단 10번) 군집의 개수 구하기--> 3개 (하)'과외 - ADsP > 복원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sP 21회 복원 문제 (1) 2019.08.26 ADsP 20회 복원 문제 (1) 2019.08.26 ADsP 19회 복원 문제 (0) 2019.01.06 ADsP 17회 복원 문제 (0) 2019.01.06 ADsP 16회 복원문제 (2) 2019.01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