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ADsP 23회 복원 문제과외 - ADsP/복원 문제 2020. 1. 16. 16:49
1과목
1번) 로직 오류 프로세스 오류 중 틀린 것은?
--> 데이터 수집 시점이 늦어진 것은 로직 오류에 해당 (상)
2번) 데이터웨어하우스에 대해 부적절한 것은?
--> 데이터 지속적 갱신에 따른 무결성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 (중)
3번)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?
--> DBMS (하)
4번)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요구 역량 중 다른 것은?
--> 스토리 텔링 (하)
5번) 프로토 타이핑과 관련 없는 것은?
--> 문제 정의가 명확 (중)
6번) 감정분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?
--> 사용자간 사회적 관계를 알아내고자 함. (하)
7번) 암묵지 형식지의 상호작용관계?
--> 공통화 → 표출화 → 연결화 → 내면화 (상)
8번) 위기요인과 통제방안의 옳게 짝지어 진 것?
--> 나, 마(중)
단1) 사물인터넷(IoT) (중)
단2) 데이터 사이언스(Data Science) (하)2과목
9번) 투자비용 측면의 요소가 아닌 것?
--> Value (하)
10번) 빅데이터 거버넌스로 옳은 것?
--> ㄱ : 회사 내 모든 데이터 활용, ㄷ : ERD는 철저한 관리 필요, ㄹ : 요소별 구분하여 작성 (중)
11번) 데이터 거버넌스와 빅데이터 거버넌스의 차이점?
--> 데이터백업 주기를 변경 (상)
12번)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용어?
--> Servitization(상)
13번) KDD 분석 절차 중 이상치, 결측치 식별 및 정제 단계?
--> 데이터 전처리 (중)
14번) 분석조직 인력들은 현업부서로 직접 배치?
--> 분산형 구조 (중)
15번) 상향식 접근방식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?
-->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수정 (중)
16번) 분석과제의 우선순위 선정시 시급성과 난이도?
--> 시급성 – 현재, 난이도 - Easy (하)
단3) 활용 (중)
단4) 분석 유즈 케이스 (중)3과목
17번) R의 특징이 아닌 것은?
--> 리눅스에서 사용이 불가능 (하)
18번) 신경망 분석 시, 노드의 수가 적으면 생기는 문제?
--> 복잡한 의사결정 경계를 만들 수 없음. (중)
19번) 분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--> 지니지수 값이 작을수록 이질적이며 순수도가 떨어짐(중)
20번) EM알고리즘에서 Z의 기대치를 계산하는 단계?
--> E-단계 (상)
21번) 오분류표에서 오분류율?
--> 0.6 (중)
22번) 산점도와 상관계수 중 틀린 것은?
--> Balance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Income (중)
23번) Lasso 회귀 모형 설명 중 틀린 것은?
--> L2 penalty를 사용 (상)
24번) 이상치 판별 방법 중 틀린 것은?
--> 평균–3*표준편차를 벗어난 값은 이상치로 판단하고 제거 (중)
25번) 전체 항목 중 A와 B가 동시에 포함되는 항목의 비율?
--> 지지도 (하)
26번) 부스팅 방법 중 Leaf-wise node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?
--> lgbm(light gradient boosting) (상)
27번) Regression tree 모형을 만들 때의 분류 기준?--> 분산감소량, F-통계량 (중)
28번) 회귀 분석 결과 해석?
--> Education5 그룹의 임금이 가장 높음 (중)
29번) chickwts 데이터 분석 결과 중 틀린 것은?
--> 전체 관측치는 70개 (중)
30번) 전체 데이터 분산의 80%를 넘게 설명하기 위한 주성분 선택?--> 2개 (하)
31번) 이산형 확률분포가 아닌 것은?
--> 지수분포 (하)32번) 비지도 학습에 해당하는 것들로 짝지은 것?
--> ㄱ : 고객의 과거 거래 구매 패턴 분석 후 상품 추천
ㄹ : 상품 구매 시, 유사 상품 구매한 고객에게 쿠폰 발행 (중)
33번) 2019/08/23을 “2019-08-23”으로 변경하는 R코드?
--> as.Date('08/23/2019', '%m/%d/%Y') (중)
34번) 분해 시계열의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?
--> 정상요인 (하)
35번) 상관계수 설명 중 틀린 것은?
--> Salary와 CRuns의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함 (중)
36번) 햄버거와 피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?
--> 향상도가 1이 넘는 값이므로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(상)
37번) 비모수적 방법의 특징 중 틀린 것은?
--> 비모수 검정에서는 평균, 분산 등을 이용해 검정 실시 (중)
38번) 가설검정 설명 중 틀린 것은?
--> p-value 값이 유의수준 보다 클 때, 귀무가설을 기각 (중)
39번)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계산할 때 대상되는 자료의 종류?
--> 서열척도 (하)
단 5번) silhouette (중)
단 6번) 차분 (중)
단 7번) 3/8 (중)
단 8번) 배깅 (하)
단 9번) 과대적합 (상)'과외 - ADsP > 복원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sP 22회 복원 문제 (0) 2019.09.01 ADsP 21회 복원 문제 (1) 2019.08.26 ADsP 20회 복원 문제 (1) 2019.08.26 ADsP 19회 복원 문제 (0) 2019.01.06 ADsP 18회 복원문제 (1) 2019.01.06